Study 썸네일형 리스트형 peda설치 및 pwntools 설치 이번에 칼리리눅스를 새로 설치하게 되면서 기존에 있던 환경들을 다시 구축해야 했다. 물론 설치해야 할 도구들은 많겠지만 우선적으로 요즘 공부하고 있는 pwntools, peda를 설치하고자 한다. 먼저 pwntools 설치는 kali linux 2016.2 기준으로 pip install pwntools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치가 진행되며 파이썬 내부에서 from pwn import * 을 사용하여 임포트 시킬 수 있다. peda의 경우 Git에 올라와 있는 문서를 참고하였다.주소 : https://github.com/longld/peda하단 부분에 설치에 관한 부분이 설명되어있다. git clone https://github.com/longld/peda.git ~/peda echo "source ~/ped.. 더보기 KISA주관 HDCON 참가신청 시작! https://www.facebook.com/hdcon/posts/954866484640048 더보기 카카오톡 자동응답 API + flask 를 활용해서 카톡봇만들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php를 이용하여 카카오톡 자동응답 봇에 대한 예제에 대해 다루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과 flask모듈을 사용하여 카카오톡 자동응답 봇 예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모듈 부분은 저도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이 코드에서 불필요한 모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coding: utf-8 -*- ############Module import############ from __future__ import print_function import json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session, g, redirect, url_for, abort, render_template, flash import httplib2 import os import .. 더보기 카카오톡 자동응답 API를 이용하여 카카오톡 봇 만들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자동응답 봇을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카카오톡은 옐로우아이디 사용자에 한하여 자동응답 API를 제공합니다. 옐로우아이디와 개인서버(혹은 AWS)가 있다고 가정하고 자동응답을 수행하는 서버를 구축하고, 카카오톡 봇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옐로우아이디는 (https://yellowid.kakao.com)에서 발급 받을 수 있고 승인이 이루어지면 관리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자동응답 탭을 클릭하여 API형 자동응답 부분의 설정하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앱 설정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앱 URL의 경우 저는 웹서버의 IP를 입력해 주었고 웹서버에서는 httpd서비스가 Centos7환경에서 구동중입니다. 일단 이 설정은 가장 마지막에 서버.. 더보기 이전 1 다음